해킹으로 수백억대 피해를 입은 가상화폐(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국내 거래소 중 가장 큰 금액으로 보험에 가입했으나 재산피해 관련 보험에는 가입하지 않아 보험금 혜택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거래소 가운데 보험에 가입한 곳은 빗썸을 비롯해 업비트, 코인원, 유빗 등 4곳에 불과하다.
빗썸은 현대해상에 '뉴 사이버 종합보험'이 30억원, 흥국화재에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 30억원에 가입해 가장 큰 규모로 보험에 가입한 상태다. 그 뒤를 업비트는 50억원, 코인원과 유빗은 각 30억원 순이다.
보험업계는 빗썸이 가장 큰 금액으로 보험에 가입했으나 정작 재산(property) 피해 보상에는 가입하지 않아 이번 해킹 피해로 인해 보험금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해상과 맺은 보험은 정보유지 위반, 네트워크 보안, 미디어 배상책임, 평판 훼손 등 5개 부문의 위험을 보장한다.
흥국화재의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해 발생한 피해를 커버한다. 해커가 투자자 개인정보를 빼내서 그 정보를 활용해 투자자 전자지갑을 털어 가상화폐를 탈취했다면 보험의 보상 범위에 들어갈 수 있지만 이번 경우처럼 직접 가상화폐를 도난당한 경우는 해당 사항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빗썸만의 문제는 아니다. 업비트와 코인원이 가입한 보험도 재산 관련 보장 내용이 없다.
업비트는 삼성화재의 개인정보유출 배상책임보험에, 코인원은 현대해상의 사이버배상책임보험에 가입했으나 보장하는 위험은 개인정보 유출과 관련된 피해가 위주다.
재산 피해 관련 보험에 가입한 거래소는 유빗이 유일하지만 이 보험을 판매한 DB손해보험은 유빗이 고지의무(계약 전 알릴 의무)를 위반해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해 양측이 법정 다툼을 벌이
이 외에도 빗썸이 재산 피해도 보장하는 보험에 가입했더라도 해킹으로 인한 가상화폐 도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시각도 있다. 가상화폐가 재산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단순한 데이터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에 대한 개념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는 이유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