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자 피케티 vs 맨큐, 소득불평등 놓고 충돌…"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팩트"
↑ '피케티 vs 맨큐' '토마 피케티' /사진=MBN (위 사진은 본 기사와 무관) |
피케티 vs 맨큐 정면충돌
소득 불평등을 놓고 세계적 석학들이 격론을 벌였습니다. 전 세계 경제학자 2만여 명이 모여 주요 경제 현안을 논의하는 '2015 보스턴 전미경제학회(AEA) 연례총회'를 관통하는 화두는 소득과 부의 불평등이었습니다.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EHESS) 교수와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는 3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전미경제학회(AEA) 연례학술총회에서 소득 불평등의 원인과 이에 대한 해법을 놓고 정면충돌했습니다.
지난해 토마 피케티 파리경제대 교수가 글로벌 베스트셀러 '21세기 자본'을 통해 던진 부의 불평등이라는 뜨거운 감자를 놓고 세계적인 석학들의 불꽃 튀는 갑론을박이 이어졌습니다.
피케티 교수는 이대로 두면 부의 불평등이 더 심화된다고 경고한 반면 미국 보수학계의 대표주자 그레고리 맨큐 하버드대 교수는 불평등 심화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었습니다.
맨큐 교수는 "자본수익률(r)이 경제성장률(g)보다 낮은 게 더 큰 문제"라며 'r이 g보다 높아 소득불평등이 심해진다'는 피케티 교수 주장을 정면 반박했습니다.
그는 '그래서 어쩌라는거냐?(r>g. So what?)'라는 제목의 발제를 통해 자본수익률이 경제성장률에 미치지 못한다면 오히려 과도한 자본 축적이라는 부작용이 발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맨큐 교수는 "피케티 교수가 이를 트집 잡는 것은 '끊임없는 불평등주의 함정'에 빠진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피케티 교수가 주장한 글로벌 부유세를 반대하고 대신 '누진적 소비세'를 대안으로 제시했습니다.
이에 대해 피케티 교수는 "돈이 돈을 버는 빈익빈부익부 현상은 하나의 팩트"라며 "누진적 소비세가 부유세를 대체할 수 없다"고 재반박했습니다.
이번 전미경제학회에서는 최근 살아나고 있는 미국 경제 낙관론에 대한 경계론도 제기됐습니다.
미국 학계는 물론 정부·재계·금융계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로런스 래리 서머스 하버드대 교수(전 미국 재무장관)는
서머스 교수는 '만성적 수요 부진에 따른 구조적 장기침체(세큘러 스태그네이션) 가능성이 여전하다"며 석유수출 금수조치 해제와 미국 공공 인프라스트럭처 GDP 대비 1% 확대 등 6가지 처방전을 제시했습니다.
'피케티 vs 맨큐' '피케티 vs 맨큐''피케티 vs 맨큐' '피케티 vs 맨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