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수술이 이르면 내년, 늦어도 내 후년이면 의료보험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아져 앞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로봇수술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한국보건행정학회가 11일 연세의대 강당에서 '로봇수술의 명암과 비전'을 주제로 주최한 정책 토론회에서 보건복지부가 비용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뒤 단계적으로 급여화를 추진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정영기 복지부 중증질환보장팀장은 "지난해 선별급여 제도를 검토하면서 대형 병원의 비급여 진료비를 분석한 결과, 선택진료비, 상급병실료와 함께 로봇수술이 상위에 랭크되어 있었다"며 "올해 비용 효과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적절한 급여 정책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팀장은 이어 "이르면 2015년, 늦어도 2016년에는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영기 팀장은 "로봇수술 진료비는 점차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선별급여를 포함해 건강보험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검토할 것"이라며 "보험검토과정에서 로봇수술이 사장되거나 의료왜곡이 발생되지 않게 면밀히 검토해 나가겠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로봇수술의 비용대비 효율성을 놓고 논란이 있는 가운데 복지부 입장은 전향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날 보건의료연구원은 위암과 전립선암에서 수술을 받은 6000여명을 대상으로 각각 로봇수술과 개복, 로봇수술과 복강경을 비교한 결과, 위암과 전립선암 등에서 로봇수술이 개복보다 안전성 및 유효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복강경에선 위암은 유의한 결과를 보인 변수가 없었지만 전립선암에선 유효성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어냈다고 밝혔다.
이선희 선임연구위원은 "비용 효과적인 측면에서 로봇수술의 가격이 낮아지면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로봇수술은 투약, 검사, 수술, 병실료 등 모든 부분을 포함했을 경우 약 1200만원 수준인 반면 복강경은 800만원으로 약 400만원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의료전문가들은 로봇수술을 단순히 비용만의 문제로 바라봐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상욱 아주의대 외과교수는 "복강경에는 최소 3명 이상의 인력이 필요하지만 로봇수술은 1~2명이면 수술이 가능하다"며 "로봇수술은 외과기피 현상에 따른 인력부족을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있다"고 지적했다.
나군호 연세대 의대 교수는 "전립선암은 조직과 신경이 1mm차이로 수술결과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치는데, 로봇수술은 떨림이 없어 세밀한 수술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영구 대한비뇨기과학회 보험이사는 "로봇수술은 세계적 추세로 선별급여가 아닌 전면급여을 통해 환자들이 이용할 수 있게
안기종 환자단체연합회 대표도 "로봇수술의 안정성과 효율성이 검증된 전립선 암은 바로 급여를 해줘야 할 것 같다"면서 "돈이 없어 개복해야 하고 돈 많으면 로봇수술을 받는 것은 말이 되지 않으며 하루 빨리 급여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