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은 오는 2일 '노인의 날'을 앞두고 미래 신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시니어 산업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고 1일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중·일의 시니어(만 65세 이상) 인구는 현재 1억7천만명이며 2030년에는 2억9천만명에 이를 전망이다. 이같은 노인 인구의 증가 추이에 비춰볼 때 시니어 제품은 미래의 주력 수출산업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아직 국내 시니어 제품 분야는 초기 단계. 시니어 제품의 종류 및 관련 정보가 별로 없고 살 수 있는 유통망도 미흡한 상황이다.
세계 1위 초고령국가인 일본은 1990년대 초반부터 전국 81개 시니어제품 상설전시·체험관을 운영하며 시니어 산업을 활성화해왔다.
특히 오사카의 'ATC 에이지리스(Ageless)센터'에는 시니어 개조 차량, 전동휠체어 등 고가의 제품부터 주방, 욕실 등 일상용품까지 2천여 종류의 시니어용품이 전시되고 있다. 개인 신체 특성에 적합한 용품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기 때문에 연간 20여만명이 방문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경기 성남과 대구, 광주 등 3곳에서 시니어 체험관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규모가 큰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의 경우 연간 방문자수가 일본 오사카 대비 7분의 1 수준인 3만여명에 그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의료기기점을 방문해야만 소수의 시니어용품을 접할 수 있지만 일본에서는 동네 편의점이나 쇼핑몰, 백화점 등 어디서든 다양한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다.
일본은 시니아 식품의 표준화에도 앞서가고 있다. 기업별로 다른 시니어 식품 규격을 하나로 표준화했고 매뉴얼을 통해 엄격히 관리하는 것이다. 식품별 경도를 1~4단계로 수치화해 제품 앞면에 표기하기 때문에 어떤 식품이 자신에게 적합한지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전경련 유환익 산업본부장은 "시니어 산업의 성공은 써보니 편리하다는 경험 확산이 주요 관건"이라며 "기업은 일본처럼 구매가 편리한 유통채널에 적극 진출하고 정부는 제품 표
이에 누리꾼은 "전경련 시니어 제품, 우리나라 노인 빈곤률 최고인데 발전시키면 뭐해 소비할 노인이 없는데" "전경련 시니어 제품, 노인들이 잘 살수 있는 환경부터 만들자 다같이 죽는 방법 마련하지 말고" "전경련 시니어 제품, 일본은 되게 잘 되어있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