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에서 불닭 인기 확산하며 해외 수요 급증한 것이 최대 실적으로 이어져"
![]() |
↑ 사진=연합뉴스 |
삼양식품이 작년에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국내 라면 시장 점유율 1위 업체인 농심을 눌렀습니다.
어제(12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삼양식품의 작년 영업이익은 3천442억 원으로 전년보다 133% 늘었습니다.
이는 창사 이래 최대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입니다.
농심의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23.1% 감소한 1천631억 원으로 삼양식품의 절반 수준이었습니다.
농심의 영업이익은 지난 2023년 2천120억 원에서 작년 1천억 원대로 내려왔습니다.
농심 관계자는 "내수시장 소비 둔화로 인한 판매촉진비 부담 확대와 환율 상승에 따른 재료비 증가 등으로 원가 부담이 커지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23년만 해도 농심이 영업이익 2천120억 원을 자랑하며 삼양식품보다 앞서갔습니다.
그러나 작년 1분기에는 삼양식품의 영업이익(801억 원)이 농심(614억 원)보다 많았습니다. 삼양식품의 영업이익이 농심을 앞선 것은 지난 1998년 전자공시 이후 처음이었습니다.
다만 작년 매출은 농심이 3조 4천387억 원으로 삼양식품(1조 7천300억 원)의 두 배입니다.
삼양식품과 농심의 시가총액은 세 배 수준으로 벌어졌습니다. 삼양식품의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6조 1천997억 원이고, 농심은 2조 1천228억 원입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미국과 유럽에서 불닭 브랜드 인기가 확산하며 해외 수요가 급증한 것이 최대 실적으로 이어졌다"며 고 설명했습니다.
![]() |
↑ 사진=틱톡 캡처 |
실제로 해외에서 '불닭볶음면'의 인기는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삼양식품의 수출 비중은 2023년 68%에서 2024년 3분기 기준 77%로 1년 만에 9%P 늘었습니다.
덧붙여 미국 시장조사업체인 누머레이터가 선정한 '미국 알파 세대가 선호하는 브랜드' 1위로 삼양식품이 뽑히기도 했습니다.
누머레이터는 "삼양은 틱톡의 '불닭 챌린지' 바이럴 효과에 힘입어 상위권에 올랐다"며 그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앞서 유명 래퍼인 카디비가 불닭을 먹는 영상을 올리며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
삼양라운드스퀘어 관계자는 "해외 유명 연예인과 인플루언서, 글로벌 뉴미디어가 불
삼양식품은 올해 밀양2공장을 본격 가동하며 불닭브랜드 해외 매출 확대에 더 속도를 낼 계획입니다.
[김세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rlatpdms0130@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