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민, 장노년층(만 55세 이상) 등 '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다소 개선됐으나, 일반 국민 평균과는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20일 발표한 '2017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 대비 65.1%로 전년보다 6.5%p 올랐다.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장애인·노년층·농어민·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PC·모바일 등 유·무선 정보통신 기기, 인터넷 이용 등 디지털정보의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사는 1만50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방식으로 진행했다.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은 일반국민 정보화수준을 100%로 두고 상대적 수준을 평가했다.
이번 조사 결과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은 91%, 역량은 51.9%, 활용은 65.3% 수준이다. 접근수준은 전년도에 84.5%, 역량수준은 45.2%, 활용수준은 59.0%였다. 세 항목 모두 매년 향상되고 있는 추세다.
디지털정보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소득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저소득층 81.4%, 장애인이 70%, 농어민이 64.8%, 장노년층이 58.3%로 나타났다. 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도
송정수 정보보호정책관은 "정보 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반 국민과 차이가 있다"며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최진선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