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그룹리더 |
바르토슈 그쥐보프스키 IBS 첨단연성물질 그룹리더(UNIST 자연과학부 특훈교수) 연구진이 나노입자로 계면활성제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학술지 '네이처' 10일자에 게재됐다.
계면활성제는 비누, 세제, 샴푸 등 생활용품에 널리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한 분자 안에 물에 잘 붙는 부분과 기름에 잘 붙는 부분이 함께 존재한다. 한 쪽은 물을 끌어당기고(친수성) 다른 쪽은 기름을 끌어당기는 특성(소수성)을 갖고 있다. 기름과 물이 섞여 있을 때 계면활성제를 넣으면 분자의 양 끝이 각각 물과 기름에 붙으면서 자연스럽게 둘을 분리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물질을 분리하는 기능을 활용해 특정 물질(약물 등)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세대 의학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액체방울을 조절하는 기술은 제약, 화학 연구 전반에 사용되어 질병 진단, 신약 개발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기존에 액체방울을 조절하는 기술은 분자 계면활성제에 의존해 왔다. 계면활성제로 둘러싸인 액체방울을 외부 자극에 반응하도록 분자를 설계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분자의 화학구조를 설계해 만들다보니 두 가지 이상의 자극에 반응하도록 만드는 데 어려움이 컸다. 예를 들어 1987년에는 온도에 따라 변하고, 2012년에는 자기장으로 조종되는 계면활성제가 개발됐다. 빛, 산화·환원 반응 등에 각기 반응하는 계면활성제는 있었지만 다양한 자극에 동시에 반응하는 계면활성제 개발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다양한 자극으로 액체방울을 조종할 수 있는 나노입자 계면활성제를 발명했다. 나노 입자의 경우 표면 성질에 따라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효소를 운반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IBS 연구진은 나노 계면활성제를 사용해 기존의 분자 계면활성제 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을 구현했다. 연구진은 "나노 계면활성제는 전기장, 빛, 자기장에 모두 반응하도록 설계되었다"며 "자기장과 빛으로 액체방울의 위치와 움직임,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전기장으로는 액체방울들을 결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