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항이 예상됐던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회원 10개 산유국들의 원유 감산 연장 합의가 이뤄지면서 조선업계가 해양플랜트 수주 기대에 반기는 반면 해운업계는 선박유 구입 비용 증가 우려에 난색을 보이고 있다.
OPEC와 러시아를 비롯한 10개의 비OPEC 산유국들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열린 제173차 OPEC 정기총회에서 하루 180만배럴의 원유 생산을 감축하는 기간을 내년 말까지 늘리기로 했다. 당초 합의 기한은 내년 3월까지였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기준 국제유가가 지난해 초 배럴당 20달러대까지 떨어지자 같은 해 11월 OPEC은 원유 생산을 줄여 유가를 떠받치기로 합의한 바 있다. 감산 시한은 지난 6월까지였지만 감산에 참여한 산유국들은 5월에 회의를 열고 내년 3월까지 감산을 유지하기로 했고 이번에 시한이 9개월 더 연장됐다.
이번 OPEC 정기총회를 앞두고 러시아 오일업계가 감산 시한 연장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면서 합의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미국을 제외한 산유국들이 감산을 통해 떠받친 국제유가의 수혜를 미국 셰일오일 업계가 가져간다는 이유로 러시아 오일업계는 감산 시한 연장에 반대해왔다.
하지만 OPEC의 맹주 역할을 하는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어 최소한 유가 추락을 막아야 하는 입장이었다. 감산 합의에 실패해 유가가 다시 추락하면 아람코의 지분을 판 돈으로 국가 경제의 원유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투자를 하려던 사우디 왕가의 계획이 틀어질 수 있어서다.
국제유가는 산유국들의 감산 영향으로 올해 들어 50달러대 위에서 움직여왔다. 최근에는 WTI 가격이 배럴당 60달러선을 넘보고 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WTI 내년 1월 인도분은 전날보다 0.17% 오른 배럴당 57.4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이번 감산 연장 합의로 당분간 국제유가가 현재 수준에서 추락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조선업계는 해양플랜트 발주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저유전 개발업체들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60달러 내외를 유지하면 수익을 낼 수 있을 정도로 기술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오일업체들이 수익을 많이 내면 저가를 내세워 발주 물량을 쓸어가고 있는 중국 쪽 조선사들의 공세에 대응할 여지도 생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과거 중국 조선사들이 저가를 내세워 높은 기술력이 필요한 일감을 따낸 뒤 납기를 맞추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반면 아직 불황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한 해운업계는 감산합의로 유가가 오를 수 있어 우려하고 있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강화를 앞둔 상황에서 선박유 비용 부담까지 늘어날 수 있어서다.
IMO는 오는 2020년부터 선박이 내뿜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황산화물 함량 허용치을 기존 3.5%에서 0.5%로 낮출 예정이다. 이에 해운업계는 선박에 탈황설비를 달거나 추진 연료를 바꾸는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
탈황설비를 달려면 척당 수십억원의 비용이 들고, 추진연료를 바꾸려면 선박을 새로 지어야 한다. 어느 쪽이든 해운업
유창근 현대상선 사장은 지난 3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선박유 가격이 t당 400달러를 넘어서면 선박유를 아끼기 위해 선박 운항 속도를 줄이는 슬로스티밍 조짐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디지털뉴스국 한경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