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 조영훈씨(28·가명)는 서울 서대문구의 한 독서실에서 아르바이트를 한다. 수 차례 취업에 실패해 졸업이 늦어진 조씨는 영어 학원비라도 보태려 이 독서실에서 평일 밤 12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까지 일한다. 대략 한 주에 30시간 일하는 셈이다. 밤샘 근무를 마친 뒤면 짧은 낮잠을 자고 곧바로 학원과 취업준비 스터디로 발길을 옮긴다. 하지만 그동안 누적된 피로에다 하반기 취업시즌이 눈 앞에 다가 오면서 그는 몸도 마음도 '그로기' 상태라고 토로했다.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3개월 째 둔화되면서 청년층 고용난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특히 조씨처럼 취업 준비생이나 아르바이트생 등 공식 실업자 통계에는 잡히지 않지만 실질적인 실업 상황을 나타내는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역대 최악 수준으로 뛰어 올랐다. 사실상 한국 청년 4명 중 1명이 '일자리 절벽'에 내몰린 것이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686만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0만 10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올 초만해도 빠르게 늘어나던 취업자수는 3월 46만6000명 이후 4월 42만 4000명, 5월 37만 5000명으로 증가속도가 둔화된 데 이어 지난달에는 30만명에 턱걸이했다. 올 1월 이후 5개월만의 최저치다.
특히 청년 고용이 크게 줄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세의 발목을 잡았다. 지난달 50세 이상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7만 6000명 늘었지만 15~29세 청년층에서 3만 4000명 급감했다. 특히 학교 방학을 맞아 15~19세 취업자는 2만 4000명 늘어난 반면, 주 취업 연령층인 20세~29세 취업자는 5만 7000명 뒷걸음질 쳤다.
그 결과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지난달 10.5%로 1년 전(10.3%)보다 0.2%포인트 높아졌다. 6월 기준으로 2000년 이후 17년만의 최고치로, 지난 2월 두 자릿수를 나타낸 뒤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특히 공식 통계에 실업자로 잡히지 않는 알바생, 공시생 등을 포함하면 한국 청년 4명 중 1명이 '사실상 실업' 상태에 빠져 있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직장을 구하는 잠재구직자나 구직단념자, 취업준비생 등을 포함한 청년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3)은 1년 전(21.6%)보다 1.8%포인트 급등한 23.4%를 기록했다. 6월 기준 역대 최고치다.
세부 지표를 보면 '취준생' '공시생'으로 대표되는 '잠재 경제활동인구'가 대폭 늘면서 체감 실업률을 끌어 올렸다. 2016년 6월 55만 1000명이었던 잠재 경제활동인구는 지난달 64만 2000명으로 늘었다. 더 나은 일자리를 얻기 위해 당장 구직 활동을 하지 않고 있는 '취준생'과 안정적 일자리를 얻기 위해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는 '공시생' 등이 한 해 동안 9만 1000명 불었다는 의미다.
그 밖에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도 1년 새 9000명 늘면서 지난달 9만명에 달했다. 이들은 생활 전선에 뛰어들었지만 한 주에 35시간 미만을 일하며 다른 일자리를 찾는 일명 '알바생'들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취업자 증가세가 둔화되는 가운데 청년 실업률 상승 등 취업애로가 심화되고 있다"며 "추가경정예산 등 적극적 거시정책과 청년 등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청년 실업난 해소 노력을 강화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청년실업 문제는 장기적인 구조개혁을 통해 풀어야 할 문제지만 당장의 상황이 너무 심각해 정부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나 중소기업 채용 지원 등 단기적 완충제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부장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