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원전·석탄 정책으로 전기요금이 2030년까지 지금의 3.3배로 오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황일순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12일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이 국회의원회관에서 주최한 '성급한 탈원전 정책의 문제점' 토론회에서 "전기요금이 20%밖에 오르지 않는다는 게 정부 발표인데 면밀히 검토한 결과 3배 정도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 공약대로 2030년까지 원자력·석탄 발전을 줄이고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20%로 확대할 경우 전기요금 현재의 3.3배까지 오를 수 있다는 분석이다. 황 교수는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확대한 독일과 덴마크 등 주요 유럽 국가의 전기요금 인상 사례 분석을 통해 이런 예측치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태양광과 풍력 발전은 연중 가동률이 16%(석탄 81%·원전 83%)에 그치는 등 효율이 낮아 필요 전력의 6배 용량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처럼 인구 밀도가 높고 산지가 많은 곳에서는 발전소 용지 확보가 어려워서 관련 비용이 더 상승한다고 덧붙였다. 수입에 의존하는 LNG 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약 2배로 늘릴 경우 '에너지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도 우려했다.
황 교수는 "만약 날씨가 나쁘고 외국에 가스 대란이 생기면 오일쇼크처럼 우리한테 전력 대란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지금처럼 공론화위원회가 아닌 국회가 원전 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주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에너지 정책은 장기적 관점을 갖고 추진해야 하는 만큼 여야 합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에서는 탈원전으로 원전산업 인프라가 붕괴하고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비판도 나왔다. 이익환 전 한전원자력연료 사장은 "신고리 5·6호기 건설이 중지된다면 이를 신호탄으로 원전산업이 큰 혼란에 빠질 수 있고 원천기술이 사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탈원전 정책으로 해외에서 한국 원전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하고 수출에
국내 원전산업 매출은 2015년 26조6324억원으로 국내 총생산액의 1.7%를 차지했다. 종사자는 242개 업체 3만5330명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