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동진 삼성전자 IM(IT·모바일)부문 무선사업부장 사장 [출처=연합뉴스] |
23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회사는 갤럭시노트7 처리 방안과 관련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아직 구체적인 방향은 정하지 못한 상태로 '전량 폐기', '친환경 처리' 등이 다각적으로 검토되고 있다고 전해졌다.
갤럭시노트7은 지난해 8월 19일 출시해 생산 중단이 결정된 같은해 10월 11일까지 총 430만대 만들어졌다. 투입된 자원은 금 100㎏, 은 1000㎏, 코발트가 2만㎏, 팔라듐 20~60㎏, 텅스텐 1000㎏ 등으로 추정된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도 이같은 점을 강조하면서 "단순히 폐기 처리할 경우 엄청난 양의 자원이 낭비되고 환경적인 부담을 안게 될 위기에 처해있다"고 촉구했다. 삼성전자가 빠른 시일 내 친환경적인 처리 방안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배터리 외 소프트웨어와 제품 설계가 제품 발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배터리를 제외하면 다른 부품에는 문제가 없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다만 발화 사고로 갤럭시노트7라는 특정 모델에 심어진 부정적인 인식은 제조사인 삼성전자에 부담이다. 회사가 재활용이라는 카드를 꺼내들 경우 갤럭시노트7을 리뉴얼할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이유다.
갤럭시노트7 친환경 처리 방안을 추정해보자면 ▲저렴한 가격에 신흥국 유통 ▲사회공헌 차원에서 교육 지원 기기로 배포 ▲분해해 부품별 재활용 등이다.
단종된 갤럭시노트7은 출고가가 약 100만원에 육박했던 기기다. 이는 할부구매를 하더라도 소득수준이 낮은 나라 국민이 구매하기에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안전 문제만 없다면 성장 시장의 충성 고객 확보를 위한 전략 기기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사회공헌 차원에서 교육용 기기로 활용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을 활용한 교육은 학생들의 집중도와 이해력을 높일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수업을 위한 지원 기기가 부족한 게 현실이다. 갤럭시노트7은 VR 기능을 구현하는데 성능이 충분하다.
삼성전자는 국내외에서 IT 접근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 스쿨' 사업을 벌이고 있다. 또 세계 곳곳에서 코딩(Coding) 교육 관련 지원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지난해 코딩 교육을 위한 기기가 부족하다며 칠레에서 스마트폰 구매 시 구형 스마트폰을 반납하면 추가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갤럭시
업계 한 관계자는 "구체적인 처리 방안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면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의 생산량이 워낙 많기에 한 가지 방안으로 다 쓰인다고 보기는 힘들 것"이라고 평가했다.
[디지털뉴스국 박진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