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가계가 쓰지 않고 쌓아둔 여윳돈이 9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여윳돈이 늘었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처럼 들리지만 고령화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가계가 지갑을 닫으면서 잉여자금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돼 밝은 소식만은 아니다.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4년 중 자금순환’에 따르면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잉여자금 규모는 91조7000억원으로 전년보다 4조3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했다.
잉여자금은 예금·보험·주식투자 등으로 굴린 돈(운용자금)에서 빌린 돈(조달자금)을 뺀 것으로, 이 자금이 증가한 것은 가계가 쓰지 않고 쌓아둔 돈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가계의 잉여자금은 2012년 77조6000억원, 2013년 87조4000억원 등 매년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가계가 돈을 쌓아둔 이유는 경기가 좋아져 버는 돈이 크게 늘어나서라기 보다는 고령화와 가계부채 등의 이유로 소비를 크게 줄였기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평균 소비성향은 72.9%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민간소비 증가율(1.7%)도 2009년(0.2%) 이후 가장 낮아졌다. 가계가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은 지난해 75조4000억원으로 1년 새 10조3000억원 늘었다.
기업(비금융법인)은 매출이 부진한 반면 설비투자가 늘면서 자금 부족 규모가 확대됐다. 2013년 31조5000억원이던 자금부족 규모는 지난해 33조2000억원으로 1조7000억원 가량 늘어났다.
금융회사를 제외한 국내 기업의 자금 운용규모(굴린돈)의 축소폭이 조달한 자금(빌린 돈)보다 컸다. 기업의 자금 운용(굴린 돈)은 68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7조3000억원 줄어든 반면, 조달한 자금(빌린 돈)은 101조5000억원으로 전년의 117조2000억원보다 15조7000억원 감소했다.
문소상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기업의 설비투자가 2013년 -0.5%에서 2014년 5.9%로 증가하기는 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으로 회복되지는 못하고 있다”며 “2008년 기업의 자금부족 규모
특히 기업은 여유자금 운용 수단을 채권에서 머니마켓펀드(MMF) 등으로 변경했다.
지난해 기업의 자금운용 규모 중 채권은 1조1000억원으로 지난 2013년의 19조1000억원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MMF 등이 포함된 투자펀드지분은 2013년 마이너스(-)3조2000억원에서 지난해 10조7000억원으로 대폭 증가했다.
[서동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