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고삼석 교수 신간 <넥스트 한류> |
지난 30년간 전 세계를 매료시킨 한류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AI시대의 미래 전략을 모색한 책이 출간됐습니다.
고삼석 동국대 AI융합대학 석좌교수(전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는 신간 『넥스트 한류』에서 '엔터테크'(Entertainment+Technology)라는 핵심 키워드를 내세워 AI 시대에 한류가 나아갈 길을 기술적, 정책적, 산업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조망합니다.
콘텐츠·미디어 전문가이자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직속 글로벌책임강국위원회 산하 K-컬처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저자는 '한류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동남아시아 국가들, 미국, 중국 등 해외 한류 현장 곳곳을 방문하여 직접 보고, 듣고, 느낀 점들을 생생하게 정리했습니다.
저자는 우선 한류의 지난 30년을 돌아보며 주요 성과와 정책의 한계를 짚습니다. 특히 넷플릭스와 유튜브 같은 글로벌 플랫폼 의존이 초래한 국내 콘텐츠·미디어 생태계 왜곡과 콘텐츠 다양성 부족, 팬덤 피로도 등 한계점에 다다른 한류를 우려하며 구조적 성찰을 시도합니다.
오랜 고심의 결과로 '엔터테크'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콘텐츠 산업의 미래를 제시합니다. 저자는 '엔터테크'를 단순한 기술 트렌드가 아닌 콘텐츠 산업 패러다임의 전환점으로 인식합니다. 그러면서 AI, XR,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이 콘텐츠의 창작·제작·소비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기술이 곧 문화산업의 생존 전략'이란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촉구합니다.
저자는 한류의 다음 단계는 단순한 콘텐츠 상품의 교류가 아니라 보다 깊은 문화적 공감을 만들어내는 ‘관계의 예술’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지금까지의 한류가 ‘보내는 한류’였다면 앞으로는 현지 이용자들과 ‘함께 만들고 즐기는 한류’가 되도록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궁극적으로는 한류를 사랑하는 이들과 '문화적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K-콘텐츠와 한류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제시합니다.
또 콘텐츠·미디어 플랫폼 주도권 확보를 위해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육성 계획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단순히 콘텐츠 수출국으로서의 위상을 넘어 이용자와 함께 콘텐츠를 공동 창작하고 경험하는 '문화적 동반자'로 한류를 진화시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자의 이 같은 구상은 'K-컬처 시장 300조원 시대' 개막을 위해 K-컬처 플랫폼 육성에 집중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실현 과정에서 구체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한류의 중심지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연대도 제안합니다.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등을 직접 방문해 현지 한류 팬들과 관계자들을 인터뷰 한 저자는 공동 제작, 인적 교류, 기술 협업을 통해 아시아 전체가 함께 성장하는 '공
박양우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추천사에서 "이 책은 한류에 대한 성찰부터 한류의 전망과 비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며 "탁월한 식견으로 한류의 미래와 비전을 제시한 이 책은 분명 최근 쏟아져 나오는 한류에 관한 책들 중 백미"라고 평가했습니다.
[ 서영수 기자 engmath@mbn.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