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김진선 기자] 민준호는 극단 공연배달서비스 간다의 대표이자, 연극 ‘나와 할아버지’ ‘뜨거운 여름’ 뮤지컬 ‘바람직한 청소년’ ‘거울공주 평강이야기’ 등 다수 작품의 연출가다. 민준호 연출은 작년 10주년을 맞은 극단 ‘간다’(簡多)에 대해 “극단 모토가 무대에서만 할 수 있는 다양한 공연을 만들자는 것”이라며 간략하면서도 미니멀해 어디든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민 연출은 특히 ‘간다’ 배우들에 대한 물음에 “딱 나누기 쉽지 않다. 단원제 극단이 아니기 때문에, 같이 작품을 할 뿐이지, 누가 극단 단원이고 아니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하며 따뜻한 미소를 지었다. 대학로 배우들이 극단 ‘간다’와 민 연출에 대해 훈훈한 미소를 지으며 고개를 끄덕이는 이유를, 인터뷰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간다’ 원년 멤버, 그리고 작품에 출연한 배우들
↑ 디자인=이주영 |
그는 “재작년을 기준으로 그 전부터 있었던 원년멤버 진선규, 김지현, 박민정, 정연, 정선아, 조현식,이희준, 김민재가 7년 동안 이끌어 오다가 다른 배우들도 호흡을 맞추게 됐다”며 “두 번 이상 같이하면 간다 식구”라고 정리했다.
민 연출은 열린 마음이다. 극단 이라는 소속감으로 배우들을 가두려고 하지도 않았고, 어떤 배우와 작품을 하면서 관계를 만들려고 하지도 않았다. 덕분에 배우들은 자유롭게 작품에 빠져들 수 있고, 오히려 간다 극단 배우이고 싶어한다.
“극단 ‘간다’ 작품, 창작을 하는 것이 우리의 의미”
‘간다’ 작품은 ‘간다스럽다’는 수식어가 붙을 정도로 독특하면서도 남다른 정감이 녹아있다. 민 연출은 이에 대해 “다른 작품을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라며 “무대에서만 할 수 있는 작품을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유명한 번역극으로 작품을 만든다고 생각하는 분은 우리와 맞지 않다. 하더라도 다르게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때문에 간다에서 올린 ‘올모스트 메인’도 여타 작품과 차별성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민 연출의 설명이다. 그는 “창작을 하는 것이 우리의 의미라 생각이자 할 일”이라며 “외부 작품을 하는 것보다 새로운 작품을 하는 것이 간다의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창작하지 않으면 작품을 굳이 작품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민 연출은 “간다는 창작집단”이라며 “트렌디한 것을 신경 쓰지 않고, 작품마다 다르게 만들려고 한다. 비슷한 것을 두 번 할 이유는 없고, 이야기보다 양식을 추구하려고 한다. 리얼리즘, 다른 집단에서 안 하는 것 몸집, 소재, 소품으로 극을 이끈다거나 하는 독특함을 추구한다”고 덧붙였다.
때문에 민 연출은 춤이나, 움직임이 많이 들어간 무대에서만 할 수 있는 작품이 설렌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공연이 다 비슷하고 단순하다. 로맨틱이라거나 다른 사람들이 보기 힘든 옛날 것을 하거나 말이다”라며 “관객에게 작품을 보게 만들고 싶은 희망을 전하려 한다. 보면 중독이 될 수 있고, 영화와 다른 감동을 주는 구나,라는 마음이 들 수 있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라고 설명했다.
“극단 ‘간다’는 멋을 부리지 않고 몸으로 시작한 극단이다. 수익은 배우들 식비로 쓰고 또 그만큼 고생을 시킨다. 무대에서만 할 수 있는 공연을 추구하기 때문에, 배우들도 무대에서 ‘진짜’로 하게 만든다. 자기 쇼가 아닌, 같이 하고 어우러짐의 멋이 있는 공연, 화학적인 반응이 있다”
때문에 ‘간다’ 작품은 자신의 쇼가 아닌, 상대방과 주고 받는 본능을 가진 배우들이 오래 출연하게 된다. 배우 본인의 재주를 버리고, 상황과 드라마를 위한 것만 남기고 무대에 오른다.
민 연출은 이에 대해 “배우 본연의 더 멋있는 부분을 보고 싶은 팬들은 떠나기도 하지만, 그들을 위한 공연은 더 이상 하지 않을 생각”이라며 “공연을 사랑하게 만들어야지 특정 배우를 잘 보이게 하기 위해 공연을 바꿀 수는 없다”고 소신을 밝혔다.
“공연을 만드는 것이 매력적, 포장은 관심 없어”
민 연출은 “내가 공연상주극단 간다가 아니냐고 한 적 있다”고 말하며 웃었다. 그는 서울에서 좋은 작품으로 평가받은 작품이 지방에서도 공연되는 것을 바라고 있기에, 배달을 좋아한다.
때문에 ‘거울공주 평강이야기’ ‘나와 할아버지’ ‘유도소년’ 등의 작품도 이동이 쉽게 만들어졌다. 민 연출은 “‘뜨거운 여름’은 아니지만 보통 작품들이 트럭 두 대 정도면 이동이 가능하다. 조명도 필요 없는 작품을 다시 하는 것이 로망”이라고 마음을 터놓았다.
민 연출은 “앞으로 간다 작품은 서울지사와 배달을 하는 작품이 있지 않을까. 나는 서울에서 에서 멋진 연출로 남을 생각도 없다. 외부 작품을 잘 만드는 연출이 될 필요가 없고, 내 목표도 아니다”라며 “공연을 만드는 것에 매력을 느끼지 남들이 만들어놓은 작품을 포장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민 연출은 간다를 더 살찌우고 싶은 생각이 없다고 털어놨다. 그는 “간다는 겸손한 극단이다. 화려하지 않은, 심적으로 충만한 곳”이라고 설명하며 “합리적인 욕심이 오히려 합리적이지 않더라. 간다 만큼은 손해 보더라도 무언가는 잃지 않도록 하는 극단이 될 것”이라고 꾹꾹 눌러 말했다.
‘간다’라는 이름으로 작품 뿐 아니라 출연 배우들에 대한 신뢰가 생길 수 있는 데에는 민준호 연출의 소신과 뚝심이 작품에 녹아있었기 때문이다. 민 연출은 “팬덤이 생긴 대학로지만, 한 배우가 아닌 작품이 모든 배우가 빛날 수 있는 작품, 한 방향으로 쏠리고 있는 대학로에 역행할 수 있는 극단이 간다”라며 “우리라도 역행할 수 있다는 것이 자부심 아닌가”라고 덧붙이며 허허 웃어보였다.
김진선 기자 amabile1441@mkculture.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디자인=이주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