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3일) 이재명 대통령이 추가 신도시보다는 기존 부지를 활용한 주택 공급 방안을 이야기했죠.
국정기획위원회에서는 서울 도심의 주민센터 등을 활용한 공급 대책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오래된 관공서를 새로 높게 지어서 저층은 관공서로, 고층은 주택으로 활용하는 방안입니다.
이병주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
【 기자 】
노후화된 청사를 허물고 지난 2020년 지어진 서울 구로구의 오류동 주민센터는 국내 최초로 주택을 포함한 고층 건물로 복합개발됐습니다.
▶ 스탠딩 : 이병주 / 기자
- "지상 18층 규모 이 청사 5층까지는 주민센터와 공공시설이, 그 위로 13개 층에는 180호의 공공주택이 들어섰습니다."
최근 국정기획위원회에 이와 같이 서울의 주민센터와 파출소 등을 활용한 주택 공급 방안이 보고됐는데, 국정위 차원에서 긍정적으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서울 지역 전용면적 33㎡ 이하 원룸 평균 월세 가격이 올들어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가운데, 청년층과 1~2인 가구 실수요자를 고려한 대책으로 보입니다.
국정위 관계자는 공공청사가 역세권에 있는 경우가 많아 사업성이 높다면서 계획대로 추진되면 이번 정부 임기 안에 서울에 최대 15만 호 공급도 가능하다고 전망했습니다.
취재 결과 구체적인 사업 추진 방안으로는 특별법 도입이 제시된 걸로 확인됐습니다.
앞서 유사한 사업이 추진됐지만, 관공서 건물을 분양하는 과정에 행정 절차상 걸림돌이 많아 큰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기 때문입니다.
특별법이 만들어지면 분양 과정이 대폭 간소화될 수 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도 다양한 공급 방안을 강조한만큼 관공서 활용 주택이란 아이디어에 힘이 실릴 전망입니다.
▶ 인터뷰 : 이재명 / 대통령(어제)
- "기존 택지들 재활용이나 기존 부지를 활용하는 방법도 얼마든지 있습니다. 고밀화할 수도 있고요. "
다만 1~2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현재 불붙은 부동산 시장을 달래기 위한 별도 공급대책도 필요하단 진단입니다.
MBN뉴스 이병주입니다.[ freibj@mbn.co.kr ]
영상취재 : 이동학 기자
영상편집 : 송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