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코로나19 여파로 위축되고 있는 증시를 방어하기 위해 '한시적 공매도 금지' 카드를 저울질하고 있다. 대량 공매도 주문이 쏟아질 경우 공포심리를 자극해 비이성적인 주가 하락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비상 대책을 본격 가동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은 거시건전성협의회를 열고 주식시장 컨틴전시 플랜(비상 대책)을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는 '한시적 공매도 금지' 방안도 논의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우리 주식시장은 기업 실적과 외환보유액 등으로 봤을 때 펀더멘털이 좋은 상태"라며 "기대와 달리 낙폭이 크게 심화될 경우 단계적인 컨틴전시 플랜으로 한시적 공매도 금지도 도입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로나19의 국내 확산세가 가팔라진 지난달 24~28일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서 일평균 공매도 거래 금액은 7779억원으로, 1월 평균 5403억원 대비 43%나 급증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 매도 주문을 낸 뒤 실제 가격이 내리면 싼값에 주식을 매수해 갚는 투자 기법이다. 급락장에서는 공매도 주문이 '패닉셀링'을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아울러 공매도가 외국인들의 전유물이라는 논란도 있다. 지난해 주식시장(코스피+코스닥) 공매도 거래대금 103조5000억원 중 개인투자자 거래대금은 1조1000억원으로 1.1%에 그쳤다. 외국인 투자자 거래대금이 약 65조원으로 62.8%를 차지했고 기관투자가는 37조3000억원으로 36.1%였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은 "개미투자자들의 공매도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만큼 공매도를 한시적으로나마 금지해 투자자들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것이 급선무"라며 금융위에 한시적 공매도 금지를 주장한 바 있다.
국내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 재정위기 당시 한시적으로 공매도 금지 조치를 시행했다. 2008년에는 미국 리먼브러더스 파산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자 그해 10월 1일부터 그 다음 해 5월 31일까지 8개월 동안 전 종목의 공매도가 금지된 바 있다. 또 유럽 재정위기로 다시 세계 경제가 출렁이자 2011년 8월 10일부터 2011년 11월 9일까지 3개월간 전 종목의 공매도가 금지됐다. 한편
[진영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