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경기 둔화로 중소기업의 회생절차가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경영 위협에 처한 기업이 빨리 제 궤도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회생전용자금(DIP) 조달시장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DIP가 기업 경영 정상화에 마중물 역할을 해 기업 재기에 도움을 준다는 이유에서다. 민간 구조조정 전문 운용사의 필요성도 거론된다. 18일 한국증권학회가 주최한 제2회 기업구조혁신포럼에서 서형준 유진자산운용 PEF본부장은 "중소기업은 시장 상황 변동에 따른 자체 대응 역량이 부족하다. 작은 충격에도 부실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DIP 조달시장 활성화를 위해 금융기관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우호적인 조달 조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여신 규모는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중소기업 여신 규모는 총 733조원으로 2014년부터 매년 평균 7% 수준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기업회생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회생절차를 신청한 기업은 980곳으로 2012년부터 연평균 3%씩 오르고 있다.
그러나 사전 구조조정이나 워크아웃, 회생절차에 들어간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는 쉽지 않다. DIP는 리스크가 큰 투자다. 다양한 성격의 채권자와 손실회피 성향을 보이는 금융기관은 투자를 꺼릴 수 있다. 회생기업 상황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한계기업이 새로운 채권자를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최우선 변제권과 담보 등 투자 유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나 이때 기존 채권자와 갈등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됐다. 서 본부장은 "새로운 채권자에게 유인책을 준다면 그만큼 기존 채권자 반발이 있을 수 있다. 정부나 회생법원 차원에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합의를 거쳐 규칙을 만들어 나
기존 사모펀드 운용사와는 투자 목적이 다른 만큼 구조조정 전문 운용사를 육성해 DIP 조달시장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희영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