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차주들의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7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대출자를 뜻한다.
한국은행은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취약차들의 DSR은 2분기 말 67.6%로 전체 차주 평균(38.8%)보다 30%포인트 가까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취약차주들은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높았다. 취약차주의 신용대출 비중은 43.0%로 비취약차주(23.5%)보다 19.5%포인트, 취약차주의 비은행 대출 비중은 65.5%로 역시 비취약차주(41.5%포인트)보다 24.0%포인트 각각 높았다.
DSR이 100%를 넘는 차주들도 전체 차주 기준으로 8.4%에 달했다. DSR이 100%를 넘으면 원리금 상환액이 연간 소득을 상회한다는 의미다. 특히 고신용(52.9%), 고소득(37.3%) 차주 비중이 높았다. 취약차주 비중은 18.4%로 나타났다.
차주의 자산 정보를 간접적으로 추정한 결과 DSR 100% 초과 가구 중 총자산이 금융부채를 웃도는 가구는 93.4%에 달했다
반면 유동성 측면에서는 채무상환 능력은 다소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DSR 100% 초과 가구의 58.3%가 금융자산보다 금융부채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