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회장은 30일 열린 JB금융지주 이사회에서 공식적으로 사퇴 의사를 표명했다. 이에 앞서 이날 임원들에게 보낸 CEO레터에서 "차기 회장 후보에 오르지 않고 임기인 내년 3월까지만 회장직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회장은 "2013년부터 6년간 회장을 맡아 JB금융그룹을 크게 성장시켰다는 호평을 받고 있는 지금이 후배들에게 길을 터줄 때"라며 물러나는 이유를 설명했다.
김 회장은 JB금융 최대주주인 삼양그룹 김연수 창업주의 손자이자 김상협 전 국무총리의 장남이다. 삼일회계법인을 거쳐 대신증권 이사, 메리츠증권 이사, 메리츠증권 부회장 등을 역임한 뒤 2010년 전북은행장에 취임하며 JB금융그룹과 인연을 맺었다. 2013년에는 초대 JB금융지주 회장으로 선임돼 본격적으로 JB금융 성장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주 회장과 전북은행장을 겸임하다 2014년 광주은행을 인수한 후에는 광주은행장과 지주 회장을 함께 맡았으며 지난해부터는 지주 회장 직책만 유지해오고 있다. 김 회장은 재임 기간에 우리캐피탈, 더커자산운용, 광주은행을 잇달아 인수해 JB금융을 지역의 금융지주사로 키워냈다. 덕분에 2016년 한 차례 연임에 성공했다. 김 회장이 행장을 맡기 직전인 2009년 자산 7조2309억원 규모였던 전북은행은 지난 9월 말 기준 총자산 47조1691억원대 JB금융그룹으로 외형 성장을 이뤘다. 실적도 호조세를 이어가면서 올해 1~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18.2% 증가한 2855억원을 기록했다.
지방 금융 맹주 역할에만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과 수도권 시장에서도 성과를 냈다. 2016년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을 인수한 데 이어 중국(광주은행)과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JB우리캐피탈) 진출에 성공했다. 수도권 지점도 확대해 현재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수도권 소재 영업점이 총 47곳에 달한다.
이 같은 성과에도 김 회장이 용퇴를 결심한 것은 JB금융이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김 회장은 이날 주요 임원과 부서장들에게 "급변하는 금융 환경에 적합한 인물이 필요하다"며 "리더십에도 세대교체가 필요하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김 회장이 용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JB금융은 이날 오후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를 열고 차기 회장 선출 논의에 착수했다. 현재 JB금융 임추위는 사내이사를 제외한 최정수·김대곤·이용신·김상국·이광철 사외이사와 윤재엽·안상균 비상임이사 등 7명의 이사진으로 구성돼 있다. 임추위는 최고경영자 승계 구도에 맞춰 구성된 후보군을 평가할 예정이다. 임추위가 관리해 온 상시 후보군에는 지주사와 주요 계열사 최고경영자 등 임원진이 포함
한편 핵심 계열사인 전북은행의 임용택 행장과 광주은행의 송종욱 행장도 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만큼 인사 교체 폭은 더 커질 가능성이 높다.
[김태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