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년간 아파트 분양이 몰렸던 경기도에서 입주폭탄 우려가 현실화하고 있는 가운데, 높은 집값을 버티지 못하고 서울을 떠나는 수요가 있어 실제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사진은 올해부터 입주가 본격화하는 다산신도시 아파트단지 전경. [김강래 기자] |
2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입주량은 6만290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88.5%,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직전 5년 평균 대비 94.6% 늘었다. 이는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2005년 이후 1월 기준 최고치다. 특히 최근 2기 신도시 조성이 활발했던 수도권 입주량 증가가 두드러졌다. 수도권의 1월 입주량은 3만1198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89.8%, 5년 평균 대비 127.4% 늘었다.
같은 수도권이라도 서울과 비서울 간 양극화가 두드러졌다. 경기도 입주량은 2만1583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120.8% 급증했고 5년 평균 대비 증가폭은 224.9%에 달했다. 인천은 5249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561.1%, 5년 평균 대비 509.6% 폭증했다. 반면 서울 입주 물량은 4366가구로 전년 동월 대비 25.6%, 5년 평균 대비 29.8% 줄었다.
공급과잉 우려는 미분양 통계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9104가구로 전월 대비 1774가구 늘었다. 경기도는 8611가구로 전달과 비교하면 182가구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8월 7596가구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최근 택지 공급이 몰렸던 경기도 신도시는 물량이 늘어나면서 전세금이 떨어지고 입주자를 찾기 어려운 현상이 한동안 나타날 것"이라며 "전세금이 떨어지면 인구가 유입되면서 결국 반등이 이뤄지는데 지금 입주 물량 우려가 있는 지역들은 반등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KB국민은행 부동산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의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2011년 대비 1억417만원 오른 5억7246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2억7837만원에서 3억2552만원으로 4715만원 오르는 데 그쳤다. 서울 주택 한 채 가격이면 경기도에서 두 채를 매입할 수 있는 셈이다.
이 같은 집값 추이를 반영하듯 최근 서울시민의 경기도 아파트 매입 비율도 늘어나고 있다. 국토부 아파트 매매거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2.06%였던 경기도 아파트 매입자 중 서울 거주자 비율은 2015년 12.87%, 2016년 14.93%, 2017년 15.6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결국 늘어나는 유입인구가 급증하는 입주물량을 얼마나 소화할 수 있을지가 앞으로 경기권 집값 향배를 좌우할 수 있다는 얘기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에서는 16만1992가구 입주가 예정돼 있다. 현 인구에서 2%씩 늘어난다고 가정하면 올해 경기도 신규 유입인구는 약 25만7000명으로 추산된다. 이들이 모두 2인 가구라면 13만가구, 3인 가구라면 약 8만5000가구의 수요가 형성되는 것이다.
경기도로 유입되는 이주인구가 서울 주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만큼 올해 16만가구 입주로 엄청난 공급과잉이 현실화할지는 두고 봐야 할 일이다. 장재현 리얼투데이 리서치본부장은 "서울 거주자의 경기도 아파트 매수비율이 높아지면서 우수한 교통망을
[정순우 기자 / 김강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