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년 전국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부산 래미안장전이 다음달 입주를 시작한다. [사진 제공 = 삼성물산] |
부산시는 지난해 11·3 부동산대책과 올해 6·19 대책에서 서울 등 수도권과 달리 사실상 별다른 부동산 규제를 받지 않아 반사이익을 얻었던 대표적 지역이다. 지난해 11·3 대책에서 부산시 16개 자치구 중 7개 자치구가 청약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돼 분양 후 1년간 분양권 전매가 제한을 받았지만 명지국제신도시 등 공공택지에 지어진 단지만 적용됐다. 기존 주택법과 시행령에서는 민간택지의 경우 수도권에만 전매제한기간을 설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공공택지의 전매제한기간을 1년으로 설정할 수 있었지만 민간택지는 적용받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지난해부터 부산시에 전국 단위 투자 수요가 몰렸다. 올해 전국에서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단지 5개 중 4개가 부산시 아파트일 정도다. 대우건설이 부산 서대신6구역을 재개발한 '대신2차 푸르지오'는 8·2 대책이 나온 직후 지난 4일 1순위 청약을 받았는데 평균 257.9대1로 올해 부산 최고 경쟁률 기록을 세웠다. 지난달 분양한 'e편한세상 오션테라스'와 '동대신브라운스톤하이포레'도 각각 228.1대1, 178.1대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3월 '연지꿈에그린'도 일반분양 가구 수의 228배에 달하는 청약자가 몰렸다.
매매가격도 전국에서 부산시가 가장 가파르게 올랐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최근 1년 동안 전국에서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부산시(4.77%) 서울시(4.34%) 세종시(3.94%) 강원도(2.57%) 제주도(2.05%) 순이었다. 재개발·재건축이 이슈가 되면서 서울시가 집값 상승 '태풍의 눈'으로 주목받았지만 실상 부산의 매매가격 상승률이 서울을 앞질렀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입주 물량이 쏟아진다. 올 상반기에 이미 8319가구 입주가 이뤄졌고 하반기에는 총 1만1402가구가 새로 지어진 아파트에 들어간다. 다음달에는 금정구에서 '래미안장전'(1938가구)이, 11월에는 사하구 'e편한세상사하2차'(946가구)와 해운대구 '재송2구역계룡센텀리슈빌'(753가구)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올해 입주 물량은 2만가구에 육박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부산 주택시장이 호전된 2016~2017년 건설사들이 앞다퉈 분양한 탓에 내년에는 2만2883가구로 올해보다 16% 증가한다. 2019년 입주 물량도 2만4484가구에 달한다.
더구나 올 11월부터 분양권 전매가 어려워져 부산 주택시장에 가수요가 붙기도 어려워진다. 정부는 지난 2일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통해 지방광역시 민간택지의 전매제한기간을 6개월로 정했다. 특히 조정대상지역으로 분류된 부산 7개구의 전매제한기간은 수도권과 같이 1년6개월 또는 소유권 이전등기 시로 더 길게 잡았다. 해당 조치는 주택법 시행령 개정안 시행 시점인 11월 입주자 모집 공고신청분부터 적용된다.
현지 분양대행사 관계자는 "요즘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제 부산에서 돈 벌 기회가 끝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확산되고 있다"며 "그동안 분양권 매매로 많은 수입을 거뒀던 부산지역 공인중개사들도 걱정이 크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부산 지역에선 주택법 시행령 개정 전 '밀어내기 분양'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시행령 개정 전 민간택지에서 이뤄지는 아파트 분양은 아무런 전매제한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향후 부산 지역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전문가들 의견은 엇갈린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부산 지역에 많은 분양 입주 물량이 예정돼 있는 데다 분양권 전매제한이 실시될 예정이라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반면
[부산 = 용환진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