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연평균 0.08%포인트 기여한다."
한국대부금융협회는 23일 제주도에서 '등록 대부업의 서민금융 역할과 순기능'을 주제로 '2014 소비자금융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이날 주제 발표자로 나선 박덕배 성균관대 경제학과 겸임교수는 "산업연관분석으로 측정한 결과, 등록 대부업은 지난 8년간(2006∼2013) 26조7000억원의 생활 및 사업 활동 목적의 대출을 취급해 약 41조원의 생산유발효과와 26만명의 고용창출효과 등 GDP 성장률에 연평균 0.08%포인트 기여했다"고 분석했다.
박 교수는 등록 대부업은 타 금융기관과 달리 가계 및 자영업자의 소비·투자에 직접적으로 관여되는 대출의 비중이 76%에 달한다는 2013년 대부협회 설문조사를 근거로 들어, "타 금융업권보다 생산, 부가가치, 취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결과는 지난 8년간 러시앤캐시, 산와머니, 웰컴론 등 대형 대부업체 10곳의 영업실적을 기준으로 전체 등록 대부업의 생산과 고용 측면에서의 경제적 유발효과를 추정한 것이다. 박 교수는 생산유발효과의 경우 대출금의 약 1.55배인 41조5000억원, 취업유발효과는 26만명에 각각 달할 것으로 파악, "이런 생산유발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추산하면 대부업이 GDP 성장률에 연평균 0.08%포인트 기여한다"고 추산했다.
박 교수는 대부업의 순기능으로 저신용자의 불법사금융 이용 축소, 국가재정 기여 등도 꼽았다.
그는 "등록 대부업은 저신용자의 불법사금융 이용을 축소하고, 28만명의 한계채무자가 보유한 2090억원의 채무를 감면했다"며 "세금납부를 통해 1조8180억원의 국가재정에도 기여하는 등 타 서민금융기관들에 상당할 정도의 경제적 활동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이어 "신용 7-9등급 이하의 저신용자가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위해 필요한 총 초과자금수요는 39조4000억원으로 추정한다"고 전제하고 "대부업권의 소액단기신용대출 총 시장규모가 18조7000억원이고, 현재 공급된 자금이 7조9000억원임을 고려하면 약 10조8000억원의 대부업권 초과수요가 존재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저신용자의 경우 민간 금융기관 이용이 가능하나 금융소외를 받는 계층을 신용 7~9등급(10등급은 금융권 대출이 불가해 제외)으로 가정한 것이다. 나이스신용평가정보에 따르면 올해 3월말 현재 신용 7~9등급은 전체의 12.8%인 약 506만명이다. 소액단기신용대출 총 시장규모(18조7000억원)는 대부업 이용자의 일인당 평균 대출이 370만원이라는 대부협회의 설문조사를 반영(저신용자 506만명*370만원)해 산출했다.
박 교수는 저신용자 초과자금수요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시중은행의 우량 신용자 중심의 대출관행과 저축은행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심의 영업, 상호금융기관의 영업기반 약화와 보수적인 경영 성향으로 2000년대 이후 서민의 무담보·무보증 신용대출시장의 공백이 장기간 이어졌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의 목적이 등록 대부업을 미화하거나 저신용자에 대한 무분별한 대출을 장려하려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하고 "그 동안 대부업의 고금리, 불법추심 등 부정적 측면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았지만, 250만명이 이용하는 등록 대부업의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는 주요 대부업체 대표 50여명과 금융당국, 지자체, 학계 등에서 약 100여명이 참석했다.
[제주 = 매경닷컴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