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 문자 링크를 눌렀다가 나도 모르게 수천만 원이 결제되더니 이미 다른 계좌로 환불이 완료됐다는 황당한 제보가 들어왔습니다.
국내 유명 페이 업체를 통한 건데요.
이들 페이 업체들은 이런 일이 자주 발생하지만, 은행도 아니고 개인정보보호법 상 환불 계좌도 알려줄 수 없다며 경찰에 신고하라고만 안내하고 있습니다.
제보M 윤현지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달 2일, 급한 일이 있다며 발송된 링크를 확인해달라는 딸의 문자를 받은 70대 A 씨.
악성코드가 담긴 링크를 열어봤는데, 당일 저녁 8시쯤 A 씨 계좌에서 980만 원씩 두 차례에 걸쳐 한 회사의 가상계좌로 돈이 이체됐습니다.
A 씨 돈이 송금된 곳은 B 페이 회사의 가상 계좌였습니다.
▶ 인터뷰 : 보이스피싱 피해자 가족
- "알바를 써서 이렇게 물건을 고가의 물건을 산 다음에 취소를 하고 그걸 알바의 통장으로 돈을 받은 다음에 그걸 회수해 간다. 이렇게 범죄가 지금 현재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곧바로 해당 업체에 문의를 해보니 이미 환불 절차가 완료돼 아무 것도 할 수 없다는 답변만 돌아왔습니다.
▶ 인터뷰 : 보이스피싱 피해자 가족
- "우린 모른다 우린 모른다 법대로 하는 거다. 이렇게만 나오고. 이런 피해가 이제 쏙쏙 나오는 걸 듣고 있는데 어떤 것을 노력하겠다 그런 말만 하고."
▶ 인터뷰(☎) : B 페이 관계자
- "지급이 완료된 거는 저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없는 게 맞고요. 저희가 정확하게 사건 사고를 파악한 것도 아니고 그리고 저희가 은행이 아니잖아요. 저희가 지급 정지를 할 수 있는 게 없더라고요."
B 페이는 은행이 아니기 때문에 계좌에 대한 지급 정지를 요청할 권한도 없고, 개인정보 보호법 상 환불을 받은 계좌도 알려줄 수 없다는 겁니다.
이런 페이 회사를 거치는 보이스피싱 범죄는 지난 8월 기준 올해에만 351건, 1억 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피해를 막기 위해선 이런 페이 회사들의 직접 신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 인터뷰(☎) : 예자선 / 변호사
- "도움을 받으려면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잖아요. 이 계정이 누군지도 모르고. 근데 사실은 B페이도 사기를 당했다고 볼 수가 있어요. 어떻게 말하면 입금해 준 자기가 통장을 개설한 은행에다 전화해도 되는 거죠. 나 이체했는데 저기 막아주세요 이렇게."
서울 은평경찰서에서 사건을 넘겨받은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가 직접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B 페이 측은 이상거래를 차단을 위해 부정거래탐지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사전 피해 방지 방안을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회사와 전자금융업자의 정보 공유를 위해 법 개정을 요구하는 등 노력할 것을 알려왔습니다.
MBN뉴스 윤현지입니다. [hyunz@mbn.co.kr]
영상취재 : 김태형 기자
영상편집 : 이범성
그래픽 : 김정연